코인 스테이킹이란?(이더리움, 솔라나 스테이킹 방법 정리)


스테이킹이란 무엇인가?

기본 개념 및 역할

스테이킹(Staking)은 Proof-of-Stake (PoS) 기반 블록체인에서, 보유한 코인을 네트워크의 보안과 검증 작업에 일정 기간 잠그고(위임 또는 예치) 그 대가로 보상(스테이킹 리워드)을 받는 방식입니다. 은행 예적금 만기 시 이자를 주는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단순히 코인을 지갑에 놔두는 대신, 네트워크 유효성(validation)에 참여하며 보상을 얻는 수동적 수익(passive income) 구조입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는 검증자(Validator)에 자신의 자산을 위임(delegate)하거나 직접 검증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탈중앙화에도 기여하게 됩니다.

스테이킹의 주요 구성 요소

  • 검증자(Validator): 블록 제안, 투표(attestation) 등 네트워크 검증 작업을 수행하는 노드
  • 위임자(Delegator): 직접 노드를 운영하지 않고 검증자에게 지분을 위임하는 참여자
  • 보상률(Yield / Reward Rate): 네트워크의 인플레이션율, 검증자 수, 위임 비율, 검증자의 가동률(uptime), 수수료(commission)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슬래싱(Slashing): 검증자가 악의적 행위를 하거나 비활성 상태가 길면 위임 지분 일부가 벌칙으로 깎이는 페널티 메커니즘

이더리움 스테이킹: 방법과 특징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의 스테이킹 구조

이더리움은 2022년 “The Merge”를 통해 PoS 방식으로 전환하였고, 이후 스테이킹이 네트워크의 핵심 안정성 메커니즘이 되었습니다.
스테이킹된 ETH는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보안과 합의 기능에 기여하며, 스테이킹 보상은 매 epoch (일정 단위 시간)마다 지급됩니다.
또한, 최근에는 출금 대기 큐(exit queue)가 길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스테이킹 해제를 요청하면 실제 출금까지 최대 수십일이 걸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ETH 스테이킹 해제 큐는 45일 수준까지 늘어난 바 있습니다. Cointelegraph
또한, ETH 네트워크 상에서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프로토콜이나 풀(pool) 기반 스테이킹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스테이킹 방식

이더리움 스테이킹 방식은 주로 다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직접 스테이킹 (Solo / Native Staking)
    • 최소 32 ETH 이상을 보유한 경우, 직접 검증자 노드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 가장 많은 통제(control)를 가질 수 있지만, 노드 운영 비용, 유지 보수, 안정성 책임이 따릅니다.
    • 논문 분석에 따르면, 2025년 현재 스테이킹 시장에서 솔로 스테이커들은 보상률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arXiv
  2. 스테이킹 풀(Pooled Staking / Delegation)
    • ETH가 32개가 안 되는 경우에도 여러 사용자가 모여 풀을 구성하고 검증자에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 중앙화 위험은 있으나 진입장벽이 낮고 운영 부담이 없습니다.
    • 일부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은 풀에서 받은 지분을 바탕으로 유동 토큰(stETH, wETH 등)을 발행하여 다른 DeFi에 활용할 수 있게 합니다.
  3. 거래소 기반 스테이킹 (Exchange Staking / Custodial Staking)
    •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크라켄 등 거래소에서 ETH를 스테이킹하는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국내 거래소는 빗썸, 업비트 등이 코인 스테이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 사용자는 복잡한 설정 없이 ETH를 예치하면 일정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거래소의 수수료나 안전 리스크를 감수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크라켄에서 ETH 스테이킹 보상률은 최대 약 6.5% APR 수준까지 지원 중입니다. Kraken

주의사항 및 리스크

  • 출금 대기 시간(exit queue) 문제: 해제 요청 후 실제 자산이 돌아오려면 수십 일이 걸릴 수 있습니다. Cointelegraph+1
  • 슬래싱 리스크: 검증자 노드가 정상 가동하지 않거나 잘못된 행동을 하면 일부 지분이 벌칙으로 차감될 수 있습니다.
  • 중앙화 우려: 인기 있는 스테이킹 풀 또는 유동성 스테이킹 프로토콜이 전체 스테이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면 중앙화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예: Lido가 전체 스테이킹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사례) coin.space
  • 복합 수수료 구조 및 순수 보상률(Net Yield)은 풀의 수수료, 거래소 수수료 등을 뺀 값이어야 합니다.

솔라나 스테이킹: 방법과 특징

솔라나 네트워크 스테이킹 구조

솔라나(Solana)는 PoS 기반 네트워크로, 보유한 SOL 토큰을 검증자에게 위임(delegation)하는 방식으로 스테이킹이 이루어집니다.
SOL 토큰 보유자는 자신의 자산을 하나 이상의 검증자(validator)에게 위임함으로써 보상을 받으며, 이 보상률은 네트워크 인플레이션율, 전체 위임률, 검증자의 수수료 및 uptime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솔라나

솔라나 스테이킹 방식 및 수익률

  • 위임 (Delegated Staking)
    SOL을 가진 사용자는 직접 검증자를 운영할 필요 없이 위임만 하면 됩니다.
    수익률은 일반적으로 5.5% ~ 7.5% APY 수준 사이이며, 검증자의 성능과 커미션(commission)율에 따라 달라집니다. Bitget
    예를 들어, 100 SOL을 위임했을 때 약 6% 수익률을 가정하면 연간 약 6 SOL을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수수료 제외 전 기준). TokenTax
  • 유동성 스테이킹 (Liquid Staking / LST, 예: hSOL 등)
    SOL을 스테이킹한 뒤 위임 지분에 상응하는 유동 토큰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다른 DeFi 프로토콜에 활용할 수 있는 옵션이 있습니다.
    이는 스테이킹된 SOL을 고정시키지 않고도 유연성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Phantom

특징 및 장단점

  • 출금 대기 시간(Unstake / Deactivation Delay): SOL 스테이킹을 해제하면 일정 기간(일반적으로 수 epoch 정도) 후에 자산이 다시 사용 가능해집니다.
  • 검증자 선택과 수수료 고려: 수익률은 검증자의 커미션 수수료와 uptime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네트워크 인플레이션 영향: SOL의 보상률은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한 인플레이션 정책 및 전체 위임률에 의해 조절됩니다.
  • 리스크 관리: 검증자 노드의 오류, 슬래싱, 위임자만의 위험 등은 항상 고려해야 합니다.

비교 요약 및 스테이킹 선택 가이드

이더리움 vs 솔라나: 스테이킹 비교 표

항목이더리움 (Ethereum)솔라나 (Solana)
최소 지분 요구직접 노드: 32 ETH 이상위임형은 최소 요구 없음 (소액도 가능)
수익률 범위약 2­~4% 수준 또는 더 높게 (풀/거래소 기준) coin.space+1약 5.5% ~ 7.5% APY 수준 일반적
출금 대기 시간최대 수십일 (exit queue) 가능성 있음 Cointelegraph비교적 짧은 해제 지연 시간 (수 epoch)
유동성 스테이킹 가능성stETH, wETH 등 유동성 스테이킹 옵션 존재Liquid staking (예: hSOL) 가능 Phantom
리스크 요소Slashing, 중앙화 우려, 출금 지연검증자 커미션, 검증자 오류 위험, 네트워크 인플레이션 변화

어떤 스테이킹 전략이 좋을까?

  • 장기 보유자 / 안정성 중심 → 직접 노드 운영 또는 풀 스테이킹 선택
  • 소액 보유자 / 편리성 우선 → 거래소 스테이킹 또는 위임 방식이 더 실용적
  • 유동성 활용 원하는 사용자 →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옵션 고려
  • 리스크 분산 전략 → 여러 검증자에 분산 위임, 보상률 및 수수료 비교, 슬래싱 가능성 점검

3포인트 요약

  • 스테이킹은 코인을 잠그고 네트워크 검증에 참여하여 보상을 받는 방식이며, PoS 블록체인에서 핵심 역할을 합니다.
  • 이더리움은 직접 노드, 풀 스테이킹, 거래소 스테이킹 등 다양한 방식이 있고, 해제 지연 시간이 길 수 있습니다.
  • 솔라나는 위임 스테이킹과 유동성 스테이킹이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5.5%~7.5% 수준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세계 1위 코인 거래소 ‘바이낸스’ 거래소 사용법 가이드 – 인베스트 노트(Invest Note)

댓글 남기기